경제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 번복, 확대 지정

VOLPE 2025. 3. 24. 09:17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최근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다시 확대 지정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특정 지역에서 토지를 사고팔 때,

반드시 관할 행정기관(예: 시청, 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부동산 투기를 방지하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지역 개발을 계획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 주요 특징

  1. 허가 대상 : 일정 면적 이상의 토지 거래가 허가 대상이 됩니다. 예를 들어, 주거지역에서는 약 60㎡(18평) 이상, 상업지역에서는 약 150㎡(45평) 이상의 토지가 해당됩니다.
  2. 허가 절차 : 거래 전에 반드시 허가를 신청하고, 허가를 받은 후에만 계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이용 목적 제한 : 허가를 받을 때 제출한 이용 목적(예: 농업, 주거 등)대로만 토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반하면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위반 시 제재 : 허가 없이 거래를 진행하면 계약이 무효가 되며, 벌금 또는 징역형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지정 이유

  • 부동산 투기 방지 : 특정 지역의 땅값 급등을 막아 투기 세력의 개입을 제한합니다.
  • 도시 개발 관리 : 신도시 조성이나 대규모 개발 지역에서 계획적인 토지 이용을 유도합니다.
  • 환경 보호 : 농지나 산림의 무분별한 개발을 방지하고, 자연환경을 보존합니다.

이 제도는 부동산 시장의 안정과

공공 이익을 위한 중요한 장치로

평가받고 있지만,

거래 절차가 복잡해지고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서울시는 최근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했으나,

이후 부동산 시장의 과열 조짐이 나타나면서

정책을 번복하고 다시 확대 지정했습니다.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의

아파트 지역을 포함한 약 163.96㎢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으며,

이는 2025년 3월 24일부터 6개월간

적용될 예정입니다.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영향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집값 상승을 억제하려는

정책적 조치로 시행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와

용산구를 포함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투기성 거래를 억제하고

시장 안정화를 목표로 한 것입니다.

 

그러나 지정 이전에 규제가 해제되었던

잠실, 삼성, 대치, 청담 지역에서는

단기간에 집값이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강남 지역의 일부 아파트는

한 달 사이에 실거래가가 10% 이상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규제 해제 후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며,

이를 막기 위해 서울시는 다시 규제를

강화한 상황입니다.

 

서울시는 시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지정 기간 연장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